Dark Ride of the Glasmoon

glasmoon.egloos.com

포토로그



하늘과 땅이 만날 때, 딥 임팩트 by glasmoon



뉴 밀레니엄을 코 앞에 두었던 지난 세기 말 1998년의 여름,
할리우드에서는 거의 같은 시기에 똑같은 소재를 다룬 영화가 두 편 만들어져 개봉되었다.
그 두 영화가 같이 잡은 것은, 과연 세기말에 어울리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불가항력의 대재앙.
그러나 두 영화가 다른 것은, 카메라의 방향을 어디로 향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이 영화, 그러니까 미미 레더의 "딥 임팩트(Deep Impact)"를 극장에서 본 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다.
친구를 만났고, 영화관에 갔고, 시간에 맞춰 걸려있기에 아무 생각없이 들어갔을 뿐.
이 작품을 전혀 범위 안에 두지 않았던 것은 상황 설정만으로도 내용이 뻔히 짐작되었기 때문인데,
그 '뻔한 내용'은 이 작품이 아니라 브룩하이머/베이 사단의 두 달 뒤 작품의 이야기라는 것은
당시로서는 알지 못했다.

이 영화는 어딘가의 누구들처럼 지구를 구하는 영웅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이 영화에는 강인한 터프가이도, 잘생긴 청년도, 그의 쭉쭉빵빵 애인도 등장하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절대절명의 위기에서 보여주는 사람들의 행동이며
이 영화의 독립된 네 주인공은 각기 과거에 대한 화해, 후대를 위한 희생, 현재를 위한 리더쉽,
그리고 미래를 향한 희망을 상징한다.

할리우드의 전형에서 한 발 비켜선 결과, 있음직한 현실적인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결과,
그리고 SF적인 고증을 -물론 완전하지는 않더라도- 충실히 세운 결과
이 영화는 비록 두 달 뒤의 경쟁작에 흥행에서는 밀렸을지언정 꽤 높은 평가를 받았고
나에게는 세기말 재난 영화들 중 최고로 꼽히며 이따금 DVD로 돌려보는 작품이 되었다.



그러나, 10년 뒤 미국 흑인 대통령의 탄생을 직접 목격하게 될 줄은
당시로서는 전혀 상상도 하지 못했다.



덧글

  • 대마왕 2009/01/21 13:13 # 답글

    이 영화에 자전거를 타고 해일과 경주를 벌이는 프로도 배긴스도 등장하죠..
  • 박군 2009/01/21 13:13 # 답글

    인제는 2012년에 행성이 떨어지면 되는건가연?!
  • 게온후이 2009/01/21 13:19 # 답글

    이제는 그럼 액시즈 오로시를(응?)
  • 렉스 2009/01/21 14:01 # 답글

    비슷한 소재의 한심한 [아마게돈]에 비하면 이게 진국이죠.
  • 갈가마신 2009/01/21 14:51 # 답글

    전 저거 볼때가 초등학생때였군요(...) 그땐 스타워즈이외의 SF영화는 다 하찮았음ㅡ_ㅡ
  • 계란소년 2009/01/21 17:47 # 답글

    미국 흥행은 비슷했다더군요. 우리나라에선 아마겟돈의 우세승이었지만...
    월E VS 쿵푸팬더도 그렇고 미국은 의외로 저런 쪽으로도 관객이 모여주나봅니다.
  • glasmoon 2009/01/21 19:14 # 답글

    대마왕 님 / 다리가 짧아서 그런지 페달은 잘 밟더라는~ (아마 해일과 경주 때는 오토바이였을 겁니다만^^)

    박군 님 / 아니죠. 연임을 생각해야죠. (그 부시도 했는데) 그럼 일단 2016년까지 연장?

    게온후이 님 / 똑같이 가는거죠. 5th 루나는 떨어지고, 액시즈는 어떻게 저떻게 간신히 저지!

    렉스 님 / 그건 몇 년 후에 공중파에서 본 걸로 기억하는데, 공짜로 보고서도 시간이 아까웠습니다. -_-

    갈가마신 님 / 그러셨군요(...) 따지고 보면 아마게돈 쪽이 스타워즈에 가까울지도. ^^;

    계란소년 님 / 호오, 미국에서는 그랬나요. 총수익으로 따지면 350 vs 550 으로 완패였지요...
  • Dr.hell 2009/01/21 21:02 # 삭제 답글

    영화를 폭넓고 깊이 있게 알지는 못하지만 저는 감독 위주로 영화를 보는편인데, 이거 개봉전 97년 '피스 메이커' 를 재밌게 봤었고 ER 시리즈를 연출한 여성 감독이기에 딥임팩트 를 눈여겨 두고 봤었습니다.

    감독위주로 보는 이유가 이전 영화들을 보면 지적수준 이랄까.. 취향들이 믿을만한 사람이었거든요.

  • 지기 2009/01/22 00:53 # 답글

    저도 당시에 아마게돈과 비교해서 이 영화가 백배는 좋았었습니다. 이 영화도 벌써 10년이나 되었네요. 흑인대통령의 탄생은 현실이 됬지만 운석 떨어지는건 현실이 안됬으면 좋겠습니다^^;;
  • 아노말로칼리스 2009/01/22 13:26 # 답글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영화라 몇 번을 봐도 라스트엔 눈물이 찔금 나는 영화죠.

    운석으로 자폭을 결정한 승무원들의 명대사가 기억이 납니다.
    "너무 비관적으로 보지 마요. 나중에 우리 이름을 딴 초등학교도 생길지도 모르잖아요?"
  • 니트 2009/01/22 20:39 # 답글

    다른 부분은 잘 기억이 안나고 주인공 여자친구의 부모님이 맨 마지막에 포옹하는 장면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던 것만 기억이 나네요..^^;;
  • harpoon 2009/01/23 14:28 # 답글

    아하 그러고 보니 대통령이 흑인......미미 레더 감독 대단하군요. 당시 아마게돈이 난리를 칠때 개인적으로 저는 이영화가 휠씬 나았다고 주장을 했는데 말입죠........
  • glasmoon 2009/01/24 13:46 # 답글

    Dr.hell 님 / 이 영화 이후로 이름을 확실히 기억하게 되었는데 이후 만든 작품이 거의 없더군요.
    TV 드라마 쪽의 비중이 더 큰 모양입니다.

    지기 님, harpoon 님 / 아마게돈과는 소재는 같아도 영화의 장르 자체가 다르지 않나 싶습니다.
    물론 저도 이 쪽을 훠얼씬 좋아합니다. ^^

    아노말로칼리스 님, 니트 님 / 전 이렇게 눈물 찔끔 하는 영화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도,
    이 작품만은 묘하게 와닿았달까 그런 부분이 있었습니다. 전 해일을 바라보던 부녀가 생각나네요.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