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rk Ride of the Glasmoon

glasmoon.egloos.com

포토로그



꽃의 시대 by glasmoon



당신이 생각하는 자동차의 황금기는 언제인가요?
저는 50~60년대였습니다!



포르쉐 356 (1948)

페르디난트 포르쉐의 꿈, 전설의 시작, 원조 911.
아래에 이어질 자동차들의 아버지/삼촌뻘이지만 어찌 이걸 빼놓고 시작하리오!



폭스바겐 카르만 기아 (1955)

꽃단장한 비틀, 서민을 위한 포르쉐.
이탈리안 디자인에 힘입은 폭스바겐 전무후무의 미소녀 라인은 60년이 지났어도 콩닥~



메르세데스 벤츠 300SL (1954)

양산화에 들어간 실버 애로우, 갈매기 날개를 달다.
후계자를 자처하는 후대의 SLR도 SLS도 (아마 GT도) 넘지 못한 벤츠 불멸의 아이콘.



BMW 507 (1956)

무뚝뚝한 집안에서 이런 요조숙녀라니!
형제 503과 함께 'BMW도 아름다울 수 있다'는 걸 보여준 유이한(?) 예?



마세라티 A6G/54 (1954)

예나 지금이나 GT라면 믿고 타는 마세라티.
그리고 미려한 곡면을 뽑아내기로는 당대 최고였던 카로체리아 자가토.



알파로메오 줄리에타 스프린트 (1954)

드디어 만난 로미오와 줄리엣!
알파로메오의 관심이 레이스에서 양산차로 옮겨지기 시작한 시절, 그리고 여전히 우아하던 시절.



페라리 250 GTO (1962)

반칙에 가까운 호몰로게이션 모델이지만 이걸 빼면 이야기가 안 되니.
페라리가 가장 붉었던 시절의, 가장 화려했던 250 패밀리에서, 가장 돋보이는 그 이름.



람보르기니 미우라 (1966)

드디어 결실을 본 페루치오의 집념, 페라리에 날리는 장대한 카운터펀치!
그리고 이탈리아는 미드십 수퍼카들의 치열한 전쟁의 시대로~



애스턴 마틴 DB Mark III (1957)

아직 구시대 이미지가 남았던 Mark II와 현대적으로 다듬어진 DB4의 사이.
애스턴 마틴의 모든 차종을 통틀어 보디 라인과 가장 완벽하게 어우러진 凸자 그릴.



로터스 엘리트 (1957)

드디어 실체화된 콜린 채프먼의 이상.
FRP 모노코크 차체와 공기역학 설계가 만들어낸 가볍고 아름다운 스프린터.



재규어 E-type (1961)

레이스 혈통에서 비롯된 공학적 설계, 아름다운 외관과 뛰어난 성능에 가격까지 잡아버린 엄친아!
그리고 이 쓸데없는 포스팅을 이끌어낸 장본인.



AC 코브라 (1962)

영미합작이 만들어낸 희대의 독사.
바다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있던 두 반쪽이 결합해 완전체가 되었다는 아름다운 이야기?



쉐보레 콜벳 C2 (1963)

유럽에 대한 모방을 접고 독자 진화를 시작한 아메리칸 스포츠.
그리고 그 독특한 아름다움의 정점에 있는 스팅레이.



포드 머스탱 패스트백 (1965)

새로운 나라, 새로운 세대에 맞추어 태어난 새로운 조랑말.
게다가 불리트! 스티브 맥퀸!!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해?



도요타 2000GT (1967)

도요타가 야마하의 힘을 빌려 만들어낸 일본 최초의 진성 GT.
겉도 속도 여러가지가 참 복잡하게 얽혀들었지만 그래도 태어날 수 있어서 다행이야~



닛산 페어레이디 240Z (1969)

유럽과 북미 스타일의 일본식 퓨전, 재패니즈 스포츠의 본격적인 시작.
그리고 이어지는 Z카의 전설.


일전 재규어 E 타입 사진찍다 생각나서 몇 개 골라봤습니다. (몇 개 빠진게 있을텐데;)
바로 취향 나오죠? 60년대 전후의 GT성향 스포츠 쿠페(레이스 제외)! 몇몇 예외적인게 있지만서도. ^^;
현대적인 자동차의 포맷이 확립되는 무렵이면서 아직 수공예품같은 이미지도 일부 간직하고 있는,
그리고 성능적으로도 완숙기에 진입하던 시기가 아니었나 싶네요.
직접 보기는 힘드니 대리 만족이라도 하려고 이 시기 자동차들의 키트는 보이는대로 쓸어놓긴 했는데
나중에 나이먹어 은퇴라도 해야 만들려나;; 그땐 손떨려 만들지도 못하려나--;;


세상에서 가장 예쁜 고양이

덧글

  • 노이에건담 2015/06/09 17:43 # 답글

    그 공장 사장님 컴파운딩에 지쳐 도망가셨다고 들었는데 다시 문 여시는 겁니까? ㅋㅋㅋㅋ
    공장문 다시 여시는 거라면 몇 대 주문 넣을까 생각중입니다.^^;;
  • glasmoon 2015/06/09 20:09 #

    다시 문 열 기약이 도통 없습니다. 90% 정도의 공정에서 멈춘 것도 몇 대나--;;
  • 무지개빛 미카 2015/06/09 18:57 # 답글

    저 디자인의 차 껍데기에 안은 요즘 최신형 샤시와 각종 기기로 채워 넣으면 좋겠는데 말입니다.
  • glasmoon 2015/06/09 20:10 #

    정말 그렇게 하는 이도 왕왕 있죠. 그야말로 돈이 수억 들어서 아무나 못하지만^^;
  • 울트라 2015/06/10 08:57 #

    일본이나 미국에서 몇 년 전부터 많이 하는 작업입니다. 심지어 본문에 나온 토요타 2000GT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얹은 차량도 나왔죠.
  • 2015/06/09 18:57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5/06/09 20:12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heinkel111 2015/06/09 19:05 # 답글

    개인적으로 모두 기라성이지만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하는게 BMW 503이라 생각합니다. 당시에 보여준 퍼포먼스는 경이적이었다고 생각하는데... 물론, 회사를 부도직전까지 몰고간 앙마이기도 하지만서도요
  • glasmoon 2015/06/09 20:38 #

    비싸기도 비싼데다 아무래도 옆동네의 맞상대가 너무 걸출했던 탓에 피를 봤던..ㅠㅠ
    BMW의 503/507은 저도 무척 좋아하는지라 한참 후의 Z8 말고는 후계가 없다는게 아쉽죠.
  • 어른이 2015/06/09 19:09 # 답글

    거기에 추가로 캐딜락 엘도라도와 폴리머스 바라쿠다, 롤스로이스 팬텀4등도 아름답죠 하앍
  • glasmoon 2015/06/09 20:40 #

    아아 아름다운 이름들이네요~
    다 열거하자면 끝이 없을것 같아 쿠페 쪽만 꼽아보았습니다. ^^
  • 두드리자 2015/06/09 19:23 # 삭제 답글

    그냥 지금 만드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니면 구입을 하지 마시던가)
  • glasmoon 2015/06/09 20:40 #

    그냥 다 방출할까 고민중입니다. orz
  • LApost 2015/06/09 22:04 # 삭제 답글

    미우라를 만들려고 어렵게(?) 엘레르(heller) 킷 구해서 뚜껑 열었다가 다시 살포시 닫았던 기억이 나네요...;;;
  • glasmoon 2015/06/10 15:49 #

    어이쿠 세상에 뭘 여셨던 겝니까; 하세가와 제품이 비교적 최근이고 무난하니 그걸로 다시~?
  • 아방가르드 2015/06/09 23:49 # 답글

    이틀 뒤 나고야 노스탤직 카 페스티벌을 보러 가는데.. 저런 차들 많이 볼 수 있게 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ㄷㄷ
  • glasmoon 2015/06/10 15:50 #

    아악! 저도 데려가 주세요!! 엉엉~~
  • 울트라 2015/06/10 09:00 # 답글

    저는 70년대~80년대의 차량이 정점이 아니었나 생각합니다. 60년대에 이뤄놓은 기본기를 바탕으로 기계적으로 해볼 것, 안해볼 것 다 시도해봤다고 할 만한 차량들이 이 시기에 대부분 나왔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원가절감같은 개념도 희박했기 때문에 우직하게 기계를 기계답게 만드는 정신도 살아있었고요.
  • glasmoon 2015/06/10 15:52 #

    기계적인 측면에서는 말씀에 동의합니다. 아직 전자 제어의 개입 없이, 다운 사이징같은건 쥐뿔도 없고, 연비나 효율같은건 도외시한 채 오로지 내달리던 시기였죠! 다만 디자인 면에서는 조금 제 취향에서 떨어져있긴 한데...
    70~80년대 포스팅을 따로 해볼까봐요^^;?
  • 내일공방 2015/06/12 10:03 # 삭제 답글

    격하게 공감!!
  • glasmoon 2015/06/12 17:08 #

    누구처럼 외모지상주의 기미가 있으시군요 쿨럭쿨럭~~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