댐 버스터 (The Dam Busters, 1955)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전대미문의 대재앙 앞에서도 미국의 뿌리깊은 흑백 차별은 견고했다.
군 상층부는 여전히 흑인은 열등하여 고도로 복잡한 전투 행위에 적합하지 않다 여겼으며
그에 따라 흑인 병사들은 대부분 취사, 수송, 경비와 같은 비전투 보직 또는 임무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환경 속에서도 전투기 조종이라는 금단의 영역에 도전한 흑인들이 있었으니...

지휘부터 정비에 이르기까지 전체가 흑인으로 구성되었던 미 육군항공대 제332 전투비행대,
통칭 '터스키기 에어맨(Tuskegee Airmen)'의 실화를 옮긴 2012년 영화 "레드 테일스".
영화의 제목은 비행대 소속 전투기의 꼬리날개를 붉게 칠했던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차별과 불이익으로부터 착실한 노력을 거듭해 빛나는 전공을 세우고 모두로부터 인정받는다는
영화화하기 딱 좋은 소재와 전투기들의 불꽃튀기는 항공전이라는 화려한 볼거리에도 불구하고
각본과 연출이 병맛이면 다 소용없다는 좋은 예로 남았다.
딱 하나의 위안이자 가치라면 사실상 승패가 결정된 뒤이기에 영화 화면으로 접하기가 쉽지 않은
대전 말기 서부 전선 전투기들의 싸움을 최신 CGI의 도배에 힘입어 구경할 수 있다는 것?
양념이 과한데다 만화적 연출도 많지만 P-51과 Me262가 붙은걸 달리 볼 기회가 없으니~

영화에서도 중반까지 사용한 P-40 워호크 앞에서 자세를 취한 실제 터스키기 대원들.
부대 창설까지도 난관이 즐비했지만 비행대가 편성된 후에도 임무 할당에서의 차별은 여전해서
상당 기간 후방에 배치된 채 정찰이나 지상 지원 등의 비교적 가벼운 임무에만 투입되었다.
영화에 따르면(?) 그 와중에도 기총 사격만으로 기관차도 잡고 구축함도 잡고~

붉은 꼬리와 함께 비행대의 영광을 함께 했던 P-51 머스탱.
레드 테일즈 프로젝트로 복원한 기체로 그들이 주로 사용했던 B/C형을 훌륭하게 재현했다.
물론 영화에서는 그런거 없이 처음 배치될 때부터 무조건 물방울형 캐노피의 D형으로만 나온다.
그러고보니 스핏파이어, 모스키토, 랭커스터에 머스탱까지 일련의 포스팅에 소개된 비행기들이
(B-17만 제외하고) 전부 심장이 롤스로이스 멀린... 과연 세계를 구한 엔진!!
쿠바 구딩 주니어, 테렌스 하워드 이하 좋은 배우들과 적지않은 비용이 투입된 것에 비하면
제작자 조지 루카스가 사비를 들여 만든 덕질이라는 얘기도 있을만큼 영화적 기본이 엉성하고
그마저도 CGI 떡칠과 만화적 과장으로 점철되어 다른 이에게 추천은 절대 못 할 작품이지만
그래도 진짜 주인공(??)들의 희소성에 밀덕이라면 소문을 타고 다들 한 번쯤 보았을 영화.
하긴 보기 힘드니까 루카스가 에잇 하고 자기 돈 들여 만들었겠지. -,.-
덩케르크 (Dunkirk, 2017)
배틀 오브 브리튼 (Battle of Britain, 1969)
멤피스 벨 (Memphis Belle, 1990)
633 폭격대 (633 Squadron, 1964)
댐 버스터 (The Dam Busters, 1955)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전대미문의 대재앙 앞에서도 미국의 뿌리깊은 흑백 차별은 견고했다.
군 상층부는 여전히 흑인은 열등하여 고도로 복잡한 전투 행위에 적합하지 않다 여겼으며
그에 따라 흑인 병사들은 대부분 취사, 수송, 경비와 같은 비전투 보직 또는 임무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환경 속에서도 전투기 조종이라는 금단의 영역에 도전한 흑인들이 있었으니...

지휘부터 정비에 이르기까지 전체가 흑인으로 구성되었던 미 육군항공대 제332 전투비행대,
통칭 '터스키기 에어맨(Tuskegee Airmen)'의 실화를 옮긴 2012년 영화 "레드 테일스".
영화의 제목은 비행대 소속 전투기의 꼬리날개를 붉게 칠했던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차별과 불이익으로부터 착실한 노력을 거듭해 빛나는 전공을 세우고 모두로부터 인정받는다는
영화화하기 딱 좋은 소재와 전투기들의 불꽃튀기는 항공전이라는 화려한 볼거리에도 불구하고
각본과 연출이 병맛이면 다 소용없다는 좋은 예로 남았다.
딱 하나의 위안이자 가치라면 사실상 승패가 결정된 뒤이기에 영화 화면으로 접하기가 쉽지 않은
대전 말기 서부 전선 전투기들의 싸움을 최신 CGI의 도배에 힘입어 구경할 수 있다는 것?
양념이 과한데다 만화적 연출도 많지만 P-51과 Me262가 붙은걸 달리 볼 기회가 없으니~

영화에서도 중반까지 사용한 P-40 워호크 앞에서 자세를 취한 실제 터스키기 대원들.
부대 창설까지도 난관이 즐비했지만 비행대가 편성된 후에도 임무 할당에서의 차별은 여전해서
상당 기간 후방에 배치된 채 정찰이나 지상 지원 등의 비교적 가벼운 임무에만 투입되었다.
영화에 따르면(?) 그 와중에도 기총 사격만으로 기관차도 잡고 구축함도 잡고~

붉은 꼬리와 함께 비행대의 영광을 함께 했던 P-51 머스탱.
레드 테일즈 프로젝트로 복원한 기체로 그들이 주로 사용했던 B/C형을 훌륭하게 재현했다.
물론 영화에서는 그런거 없이 처음 배치될 때부터 무조건 물방울형 캐노피의 D형으로만 나온다.
그러고보니 스핏파이어, 모스키토, 랭커스터에 머스탱까지 일련의 포스팅에 소개된 비행기들이
(B-17만 제외하고) 전부 심장이 롤스로이스 멀린... 과연 세계를 구한 엔진!!
쿠바 구딩 주니어, 테렌스 하워드 이하 좋은 배우들과 적지않은 비용이 투입된 것에 비하면
제작자 조지 루카스가 사비를 들여 만든 덕질이라는 얘기도 있을만큼 영화적 기본이 엉성하고
그마저도 CGI 떡칠과 만화적 과장으로 점철되어 다른 이에게 추천은 절대 못 할 작품이지만
그래도 진짜 주인공(??)들의 희소성에 밀덕이라면 소문을 타고 다들 한 번쯤 보았을 영화.
하긴 보기 힘드니까 루카스가 에잇 하고 자기 돈 들여 만들었겠지. -,.-
덩케르크 (Dunkirk, 2017)
배틀 오브 브리튼 (Battle of Britain, 1969)
멤피스 벨 (Memphis Belle, 1990)
633 폭격대 (633 Squadron, 1964)
댐 버스터 (The Dam Busters, 1955)
덧글
아카데미가 한창 명품 에어로 키트 뽑아낼때 나온 물건이라 품질도 좋습니다.
고생하셨네요. 뒷담화는 나중에 조용히라도 어떻게..^^;;;;
저도 영화 결과물은 마이 아쉽지만.... 아무도 제작에 나서지 않는 터스키기 에어맨 영화를 오래전부터 구상하며 돈 땨지지 않고 완성한 열정은 존경할만 했습니다
신은 조지 루카스에게 각본과 연출 쪽의 재능은 주지 않으셨으니 과연 공정합니다??
(아, 쓰고보니 조지루카스가 국무회의주재하는 503처럼 묘사됐는데 회의가 일방적인 소통이었다는건 아니구요, 다만 제가 그의 고유영역이어야할 부분에 대해 코멘트를 한것이 좀 아슬아슬했던적이 있었습니다. 회의 끝나고 그말 잘 꺼냈다는 하이파이브를 많이 받았었죠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