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로 쏘아올린 작은 공

지난번에 대강의 형태가 나왔으니 나머지 부분들을 마저 맞춰보기로 합니다.
우선 개틀링의 탄통은... 아무리 쳐다봐도 종래의 추진부 위치 말고는 자리가 없죠?
잘 들어가도록 크기에 맞춰 도려내고 원래 추진부 부품의 가운데만을 잘 추출해서
가운데 생긴 네모 빈 자리를 채워넣습니다.

그리고 다시 틸트로터 팩 말인데, 이거 디테일이 너무 밋밋하기 짝이 없어요.
그저 직선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면들 뿐. 이 자리에 보조 엔진이라도 넣어야겠다,
근데 어디서 가져오면 좋을까 하던 차에 갑자기 국지형의 등짝이 떠올랐습니다.

국지형, 정확히는 FSD에 정크로 들어가있던 국지형 백팩의 절반을 잘라내어
그 위쪽 부분을 지난번 B 워커의 포탑에 써먹었는데요. 남아있던 나머지 아래쪽 절반을...

틸트로터 팩 후면을 적당히 잘라내니 보기좋게 들어갑니다.
게다가 국지형을 만져본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안계시려나;;) 이거 노즐이 가동식이에요.
위로 올리면 수평 방향까지 들려집니다. 즉 수직-수평으로 틸트되는, 그야말로 안성맞춤!
어떻게 크기도 역할도 이렇게 딱 맞는 부품이 있지? 소~름!!
어딜가도 홀대받는 국지형이지만 이렇게 기여를 하였으니 1회 까방권을 부여합니다~

팔은 B 워커에서 하박만 써먹었으니 이번엔 상박만 쓰기로 할까요.
상박에다 하박의 볼관절을 옮겨붙이고 쓰지않을 때는 기부에 수납되는 걸로.

그리하여 보다 구체적인 모양이 나왔습니다.
틸트로터 팩 중앙부에 보조 엔진이 붙었으니 앞쪽에는 인테이크 자리를 뚫어줬는데
그래도 심심하니 널찍 평평한 윗자리에 패널 라인이라도 좀 그려줘야겠군요.
그냥 의식의 흐름대로 붙인거라 뭔가 수퍼로봇스럽기도 하고 초기 제트기같기도 하고~
요 앞 두 개가 손이 많이 가는 편이었던지라 이번에는 좀 빨리빨리 진행이 되었습니다만
어차피 본격적으로 시간을 먹는건 이 다음부터니까 뭐, 천천해 해봐야죠~

지난번에 대강의 형태가 나왔으니 나머지 부분들을 마저 맞춰보기로 합니다.
우선 개틀링의 탄통은... 아무리 쳐다봐도 종래의 추진부 위치 말고는 자리가 없죠?
잘 들어가도록 크기에 맞춰 도려내고 원래 추진부 부품의 가운데만을 잘 추출해서
가운데 생긴 네모 빈 자리를 채워넣습니다.

그리고 다시 틸트로터 팩 말인데, 이거 디테일이 너무 밋밋하기 짝이 없어요.
그저 직선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의 면들 뿐. 이 자리에 보조 엔진이라도 넣어야겠다,
근데 어디서 가져오면 좋을까 하던 차에 갑자기 국지형의 등짝이 떠올랐습니다.

국지형, 정확히는 FSD에 정크로 들어가있던 국지형 백팩의 절반을 잘라내어
그 위쪽 부분을 지난번 B 워커의 포탑에 써먹었는데요. 남아있던 나머지 아래쪽 절반을...

틸트로터 팩 후면을 적당히 잘라내니 보기좋게 들어갑니다.
게다가 국지형을 만져본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안계시려나;;) 이거 노즐이 가동식이에요.
위로 올리면 수평 방향까지 들려집니다. 즉 수직-수평으로 틸트되는, 그야말로 안성맞춤!
어떻게 크기도 역할도 이렇게 딱 맞는 부품이 있지? 소~름!!
어딜가도 홀대받는 국지형이지만 이렇게 기여를 하였으니 1회 까방권을 부여합니다~

팔은 B 워커에서 하박만 써먹었으니 이번엔 상박만 쓰기로 할까요.
상박에다 하박의 볼관절을 옮겨붙이고 쓰지않을 때는 기부에 수납되는 걸로.

그리하여 보다 구체적인 모양이 나왔습니다.
틸트로터 팩 중앙부에 보조 엔진이 붙었으니 앞쪽에는 인테이크 자리를 뚫어줬는데
그래도 심심하니 널찍 평평한 윗자리에 패널 라인이라도 좀 그려줘야겠군요.
그냥 의식의 흐름대로 붙인거라 뭔가 수퍼로봇스럽기도 하고 초기 제트기같기도 하고~
요 앞 두 개가 손이 많이 가는 편이었던지라 이번에는 좀 빨리빨리 진행이 되었습니다만
어차피 본격적으로 시간을 먹는건 이 다음부터니까 뭐, 천천해 해봐야죠~
덧글
지하용 만드시죠.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