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격하라 볼! (2)
아직 완성 단계는 아니지만 상황이 이리 되고보니 얼렁뚱땅 마무리해서 먼저 올립니다. -ㅁ-

인류 최악의 전쟁에서 지구연방에 승리를 안긴 최대 공로는 RGM-79 짐과 RB-79 볼의 몫이었다.
전쟁이 끝난 시점에도 각지의 창고에는 짐과 볼이 채워졌고 공장에서는 계속 생산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장의 주역이 MS로 옮겨진 상황에서, 짐은 C형(짐改)을 지나 R형(짐2)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근대화 개수를 거치며 군 병력의 주축으로 남았지만, 그보다도 많이 생산된 볼은 순식간에
잉여 혹은 예비 전력으로 떨어지는 일을 피할 수 없었다. 이에 연방 조병창에서는 볼의 병기적
의미와 역할을 조정 조율하는 시험 사업, 통칭 COBALT(COordtnate BALl Trial)를 시작했다.

사업의 이름을 그대로 딴 결과물 RB-79-CT 코볼트는 볼의 소체를 활용하여 짐을 보조 보완하는
새로운 포맷의 중형(medium) MS를 제안한다. 전쟁 이후로 볼을 MS화하려는 시도는 수차례
있었으되 비용 문제로 대부분 제식 채용이 반려되었던 예를 보아 철저하게 저비용화를 추구하여
동력원으로 핵융합로 없이 기존의 연료 전지를 그대로 이용하며 팔다리 또한 구식이지만 저렴한
모노코크 구조를 채택하였다.

융합로 미채용에 따른 출력 부족을 소형화와 간략화, 경량화로 충당하려는 시도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어, 물론 풀사이즈 MS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크기 및 중량 대비 납득할만한 수준의
반응 속도와 운동성을 보여주었다.

원본 볼의 미덕이었던 저비용과 생산성에 범용성과 적응성까지 추가하여 우주공간에 한정되었던
볼의 무대를 전 지구권으로 넓히며 새로운 로우(low)급 중형 MS로 거듭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또 군에서 채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화기 관제 기능을 제거하고 스펙을 낮춘 민수용 기체도
준비하였다. 민간에서 사용되는 주니어 MS는 이름만 MS일 뿐 계통도 크기도 전혀 달랐으므로
풀사이즈 MS와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수요도 시장도 충분히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그러나 나름 양호했던 시험 결과에도 불구하고 코볼트는 양산과 제식 채용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승인 보류 결정에는 공국의 제조사들을 흡수한 뒤 마진이 좋은 신형 MS를 대량 공급하고자 했던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AE)의 로비가 영향을 미쳤다는 소문이 돌았으며, 민간으로의 판매 또한
범죄에 악용될 것을 우려한 민수 MS의 크기 제한이 제정되면서 판로가 막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민수 MS에 대한 제한 규정은 MS가 사회 전영역에서 받아들여지는 수 년 뒤 폐지되게 되지만
이미 코볼트 개발안은 폐기되고 다수의 볼이 스크랩 처리되어 고철로 팔려나간 뒤였다...

그런데 우주세기 0081년 뜻밖에도 공국군의 도장과 의장이 입혀진 코볼트가 발견된다.
과연 이 기체의 정체는? 사정 급한 공국 잔당의 손에 들어간 것인가?

게다가 새로이 제작되는 코볼트도 발견! 이것은 대체?? 다음 회를 기대하시라!!??
아오 기대고 나발이고 이거 타이핑하는 데만도 한세월이네요.
원래 3기 세트로 올라갈 예정이었으나 거의 완성되었던 초도기만 우선 날림 마감했습니다.
물론 나머지 둘도, 일단 진행 중이긴 하지만, 언제 완성될지 기약 없습니다. -,.-
아직 완성 단계는 아니지만 상황이 이리 되고보니 얼렁뚱땅 마무리해서 먼저 올립니다. -ㅁ-

인류 최악의 전쟁에서 지구연방에 승리를 안긴 최대 공로는 RGM-79 짐과 RB-79 볼의 몫이었다.
전쟁이 끝난 시점에도 각지의 창고에는 짐과 볼이 채워졌고 공장에서는 계속 생산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장의 주역이 MS로 옮겨진 상황에서, 짐은 C형(짐改)을 지나 R형(짐2)에 이르기까지
차례로 근대화 개수를 거치며 군 병력의 주축으로 남았지만, 그보다도 많이 생산된 볼은 순식간에
잉여 혹은 예비 전력으로 떨어지는 일을 피할 수 없었다. 이에 연방 조병창에서는 볼의 병기적
의미와 역할을 조정 조율하는 시험 사업, 통칭 COBALT(COordtnate BALl Trial)를 시작했다.

사업의 이름을 그대로 딴 결과물 RB-79-CT 코볼트는 볼의 소체를 활용하여 짐을 보조 보완하는
새로운 포맷의 중형(medium) MS를 제안한다. 전쟁 이후로 볼을 MS화하려는 시도는 수차례
있었으되 비용 문제로 대부분 제식 채용이 반려되었던 예를 보아 철저하게 저비용화를 추구하여
동력원으로 핵융합로 없이 기존의 연료 전지를 그대로 이용하며 팔다리 또한 구식이지만 저렴한
모노코크 구조를 채택하였다.

융합로 미채용에 따른 출력 부족을 소형화와 간략화, 경량화로 충당하려는 시도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어, 물론 풀사이즈 MS에는 미치지 못하더라도 크기 및 중량 대비 납득할만한 수준의
반응 속도와 운동성을 보여주었다.

원본 볼의 미덕이었던 저비용과 생산성에 범용성과 적응성까지 추가하여 우주공간에 한정되었던
볼의 무대를 전 지구권으로 넓히며 새로운 로우(low)급 중형 MS로 거듭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또 군에서 채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화기 관제 기능을 제거하고 스펙을 낮춘 민수용 기체도
준비하였다. 민간에서 사용되는 주니어 MS는 이름만 MS일 뿐 계통도 크기도 전혀 달랐으므로
풀사이즈 MS와의 간극을 메우기 위한 수요도 시장도 충분히 있으리라 판단되었다.
그러나 나름 양호했던 시험 결과에도 불구하고 코볼트는 양산과 제식 채용의 벽을 넘지는 못했다.
승인 보류 결정에는 공국의 제조사들을 흡수한 뒤 마진이 좋은 신형 MS를 대량 공급하고자 했던
애너하임 일렉트로닉스(AE)의 로비가 영향을 미쳤다는 소문이 돌았으며, 민간으로의 판매 또한
범죄에 악용될 것을 우려한 민수 MS의 크기 제한이 제정되면서 판로가 막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 민수 MS에 대한 제한 규정은 MS가 사회 전영역에서 받아들여지는 수 년 뒤 폐지되게 되지만
이미 코볼트 개발안은 폐기되고 다수의 볼이 스크랩 처리되어 고철로 팔려나간 뒤였다...

그런데 우주세기 0081년 뜻밖에도 공국군의 도장과 의장이 입혀진 코볼트가 발견된다.
과연 이 기체의 정체는? 사정 급한 공국 잔당의 손에 들어간 것인가?

게다가 새로이 제작되는 코볼트도 발견! 이것은 대체?? 다음 회를 기대하시라!!??
아오 기대고 나발이고 이거 타이핑하는 데만도 한세월이네요.
원래 3기 세트로 올라갈 예정이었으나 거의 완성되었던 초도기만 우선 날림 마감했습니다.
물론 나머지 둘도, 일단 진행 중이긴 하지만, 언제 완성될지 기약 없습니다. -,.-
덧글
그건 그렇고 이런 제멋대로 텍스트가 일본 건덕들에게 알려지면 욕 좀 먹을지도요? 으하하~
이야기의 진짜 재미는 다음으로 넘기는 절묘한 컷인 듯도 하지만..
이어지는 마무리는 절대시간이 필요하게 되었군요.
별 탈 없이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다시 병원 가보니 최악은 피했다는 모양입니다. 하지만 가급적 쓰지 말고 쉬라는데 그게 어디 되나요? -,.-
쾌차하시길 바랍니다.ㅠㅜ
그녀석 직계 바리에이션만 해도 몇 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