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스 블로그 컨텐츠
- 많은 분들이 언급한대로 김한민 감독은 전작 "명량"에서 지적된 부분을 극복하려고 애썼다.
그게 얼마나 효과를 거두었느냐를 떠나서 지적을 받아들이고 노력하는 자세는 칭찬하고 싶다.
- 어차피 최민식의 재기용이 어려웠던 터에 이왕 이렇게 된거 청와대... 가 아니라 출연진을
전면 교체한 것도 괜찮은 수였다고 판단된다. 전작 이미지를 유지하면서도 일신한 느낌을 낸다.
- "명량"과는 달라진 이순신이라는 캐릭터의 해석이 감독의 지도인지 박해일의 역량인지 몰라도
이 "한산"이 전작의 단점 극복을 넘어 차별화에 성공한 가장 돋보이는 지점이 아닌가 싶다.
- 박해일과 함께 이 영화의 연기 삼대장이라면 원균의 손현주와 어영담의 안성기를 꼽겠다.
국가적 밉상을 소화한 손현주도 대단하지만 오랫동안 침체를 겪은 안성기의 역할이 정말 반갑다.
- 다른 조역들은 분량이 적어서 그런가 그래도 수고하셨네 싶은 일본어 대사를 치는 것에 반해
와키자카역 변요한의 일본어 발음은 끔찍하다. 전작의 류승룡과 함께 시리즈 전통인가?
- 견내량 진입 당시 배의 항적이 암초와 겹치는 등 CGI 작업상의 오류가 몇 군데 보이긴 해도
전작에 이어 해전 묘사는 좋은 편이다. 특히 서로 니가와라 시전하는 입질 싸움은 훌륭했다.
- 하지만, 처음부터 박아놓고 시작하긴 했어도 거북선이 울트라 킹왕짱 먼치킨이 되어버렸네.
약점이 있다 설계도를 어쨌다 위기 장치를 깔았어도 너무 강한데다 활약 장면도 너무 길다.
- 그래도 왜선들 사이로 모습을 드러낼때 '너무 빠르자나!!'를 뇌까리면서도 등줄을 타고 흐르는
거부할 수 없는 강력한 국뽕의 기운이라니. orz
- 종합적으로 많이 나아지긴 했는데, 그 사이 급성장한 한국 영화의 A급 작품 기준으로 볼 때
"명량"이 20~30년 전 감각이라면 "한산"은 10년 전 쯤? 솔직히 이순신이라는 이름에 걸맞는 걸작
...까지 가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보지만 혹시 아나? 마지막 "노량"에서 또 한 번 극복하게 될지.
덧글 삭제